청년연대은행토닥 시즌2 사업계획 |
힘든 날이 더 많았다.
그래도 우리는 살아왔다.
울며 씨뿌리며 다시,
힘내라 시작하는 봄!
- 박노해
* 토닥의 11년 활동 성과를 이어 앞으로의 10년을 그리는 ‘시즌2’ 구상 - 11년이 지났음에도 우리 사회는 여전히 청년들의 금융 소외와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안전망과 정책이 부재하며 청년들의 삶은 더 어려운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음. 이에 대한 대안으로 청년공동체금융의 지속적인 활동이 필요함. - 토닥이 지금껏 해왔던 의미있고 가치있는 활동들을 살리고 보완하는 방향으로 ‘토닥 시즌2’를 구상. |
1 | 조직 형태 |
- 청년공동체금융의 틀은 유지하면서 공공기관, 재단, 신협 등과의 협력을 통해 자금조달 방안을 다양하게 모색.
2 | 가입 연령 및 사업 대상의 확대 |
- 청년을 위한 대안은행의 역할을 계속 진행하되, 길어지는 기대 수명에 맞춰 가입 연령을 기존의 만 39세에서 만 45세로 확대.(시작 연령은 만 15세에서 만 18세로 상향)
- 자립준비청년, 이주노동청년 등 대안 금융을 필요로하는 대상들을 연결.
- 단체조합원 가입 확대.
3 | 활동 방향 |
1. 청년 생애주기별 필요와 활동에 주목한 사업 모색
- 성인이 된 청년, 사회초년생, 주거 독립을 준비하는 청년 등. 삶의 중요한 이슈나 전환을 맞이한 청년들에게 필요한 공동체기금 이용 품목 개발 및 활동 추진.
2. 조합 운영 체계와 방식 변경으로 조합원 참여 확대
- 기존의 이사회를 개편하여 운영팀 개설, 시즌제로 운영.
- 사업별 참여자 모집 및 운영.
3. 청년연대은행토닥의 존재 가치를 확산시킬 수 있는 사업 방향 수립
- 청년부채, 금융 소외 등 청년들의 금융 문제 해결을 위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활동 필요.
-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와의 협력과 연대를 강화하여 청년들의 건강한 경제생활을 돕는 지속적인 활동 필요.
4. 대안금융조직들을 비롯한 청년단체들과의 연대 도모
-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해 공통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, 청년금융문제 해결을 위한 청년금융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 마련.
5. 공공정책 및 사업과의 연계 활동 확대
- 사회에서 주목하는 청년정책과 사업들을 연계하여 사업 수행.
4 | 주요 사업 |
1. 금융협동
- 공동체기금 이용 품목 확대
: 기존의 이용 품목 + 생애주기별 이용 품목 확대(취업준비비, 주거독립비, 육아비 등).
- 주택보증금, 창업 비용 등 목돈 이용 품목 재개(자금 확보 방안 모색 필요)
: 신협과의 연계, 응원 적금 유치 등 다양한 방법 모색.
- 출자저축(관계 저축) 활성화
: 여행, 이벤트 저축 등 서로 응원과 지지를 나눌 수 있는 출자저축 활성화.
2. 조합원 연결 사업
- 토닥씨앗·토닥왕의 부활
: 조합원 활동 활성화를 위해 활동 참여시 부여되는 토닥씨앗(관계지수) 부활.
: 토닥씨앗을 가장 많이 쌓은 조합원인 토닥왕에서 쿠폰&선물 지급.
: 조합원 가게(홍보) + 청년 가게 발굴 및 확대(다양한 쿠폰 사용처 확보).
3. 조합원교육 및 참여프로그램
- 조합원 교육
: 조합원 의무 교육 진행
: 경제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진행
- 조합원 참여 프로그램
: 자원 순환과 생활비 절감 효과! 나눔 & 플리마켓 진행(분기별 1회, 연 4회 진행)
: 돈it수다, 가계부 함께쓰기 모임 등 건강한 재무 습관 만들기 프로그램 진행.
4. 청년금융문제연구 & 대외협력
- 청년금융문제연구
: 청년금융소외와 청년부채 문제를 다루는 조직들과 연계하여 공동 연구 추진
- 대외협력
: 2025 대안금융포럼 기획단 참여
: 사회적은행 연구모임 참여
: 청년단체 연대사업 참여
5 | 운영 및 수익 구조 |
1. 운영구조
- 공동체금융의 형식을 유지하기로 했으므로 최고 의사결정 구조는 조합원 총회로 둠.
- 조합 상시 운영 논의를 위한 시즌제 운영팀 구성(임기: 6개월 – 1년). 분기별 회의.(상시 소통)
- 대출심사위원회, 대출상담팀 운영.
- 사업별 진행팀 구성(최소 1개월 – 6개월).
- 감사는 대안금융 조직들과 연계하여 상호 감사로 진행하는 방안 모색.
2. 수익구조(단계적 보완)
- 조합비, 후원회비
: 신입조합원/ 후원회원 확대
: 기존 조합원 조합비 납입 캠페인(계좌확인)
- 정책사업, 연대사업 수익
시즌1 활동과의 차이점 |
토닥 시즌1 | 토닥 시즌2 | |
조직형태 | 청년자조금융 | 청년자조금융 + 협력자금(혼합금융) |
가입연령 | 만 15세 – 만 39세 | 만 18세 – 만 45세 |
주요대상 | 청년세대 | 청년세대 |
단체조합원 확대 | ||
자금조달 | 조합원 출자금 | 조합원 출자금 |
정책/ 협력자금 | ||
주요사업 | 금융협동, 토닥협동 | 금융협동, 토닥협동(조합원 연결사업) |
경제교육상담 확대 | ||
청년금융문제연구 & 대외협력 | ||
운영구조 | 조합원 총회, 이사회, 내부감사 대출심사위원회, 대출상담팀 |
조합원 총회 |
시즌제 운영팀 구성(임기: 6개월 - 1년) *구성: 운영팀장, 사업별 진행팀장, 실무진 |
||
대출심사위원회, 대출상담팀 | ||
사업별 진행팀 구성(최소 1개월 – 6개월) | ||
연대단체들과의 상호 감사 | ||
운영진 | 이사장, 이사진, 실무진 | 시즌제 운영팀장 |
사업별 진행팀장 *금융,토닥,청년금융문제연구&대외협력팀 |
||
실무진 | ||
수익구조 | 조합비, 후원회비 | 조합비, 후원회비 |
정책사업, 연대사업 수익 |